[치과상식] 치과 마취 종류와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이번 라라블리 치과상식은
[치과 마취 종류와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치과 치료 중엔 마취를 해야 할 경우가 많은데
저도 그렇지만 바늘 때문에 공포를 느껴 무서워하곤 하더라구요?!
그래서!!
오늘은 라라블리와 함께 치과마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치과마취 종류 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크게는 도포마취, 국소마취(침윤마취/전달마취), 수면마취로 나누어집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설명드릴게요.
도포마취
주사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연고형, 분사형을 이용하여
마취하려는 부위에 바르고, 뿌려서 마취효과를 얻는 방법입니다.
보통 스케일링이나 유치발치, 마취주사 전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도포합니다.
국소마취
특정한 부위에 마취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하며
온도, 압박, 촉감 등 모든 감각을 차단하고, 운동기능도 소실되도록하는 마취입니다.
국소마취의 종류는 침윤마취와 전달마취로 나누어지는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쪽에서 설명드릴게요!
침윤마취
마취가 필요한 치아의 치근단 부위에
마취주사를 직접 놓아 신경을 마취시키는 방법으로
점막하마취법, 골막하마취법, 치근막마취법 등 다양한 마취방법이 있습니다.
침윤마취는 두께가 얇은 위턱뼈의 앞니부터 어금니엔 마취가 잘되지만
아래턱뼈와 같이 골이두꺼운 부위엔 잘 되지 않습니다.
전달마취
신경의 큰 분지에 마취하는 방법으로 마취한 부위는 물론
해당 신경이 지배하는 넓은 부위까지 신경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후상신경전달마취법, 하치조신경전달마취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전달마취는 오랫동안 마취가 유지되어야하는 치료나
뼈의 두께가 두꺼워 마취가 어려운 부분에 사용합니다.
앞서 마취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셨다면
이번엔 마취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치과마취 주의사항
*마취 전엔 금주를 하셔야 합니다*
알콜성분때문에 마취가 잘 안되거나
지혈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전신질환자, 임산부는 미리 알려주어야 합니다*
기저질환이 있거나 임신부는 마취로 인한 위험성이있으니
미리 의사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마취가 되어있을 땐 뜨거운 음식을 피해야 하며
마취가 풀린 뒤 음식섭취를 하는 게 좋습니다*
마취를 하고 나면 감각이 없으므로 뜨거움을 느끼지 못하기도 하며
식사 시 볼이나 혀를 씹을 수도 있으니 마취가 풀린 뒤 식사하는게 좋습니다.
*마취한 부분을 만지지 않으며
혀, 볼, 입술을 씹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 소아의 경우 입술에 감각이 없는 게 이상하다 느껴
자꾸 만지는 경우가 있는데 만지게 되면 멍이 들 수 있어 조심해야합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마취를 하고 나면 감각이 없어
혀, 볼, 입술을 씹지 않도록 조심해야합니다.
마지막으로 마취풀리는 시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마취 풀리는 시간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치과마다 사용하는 약물이나 마취방법에 따라 차이가있습니다.
일반적인 상황으로 말씀드리자면!
침윤마취의 경우 1-2시간 후 풀리며
사랑니발치, 임플란트 수술 등 치료시간이 오래 걸려
전달마취를 시행한 경우엔 2-3시간 뒤 풀립니다.
(상황에 따라 길게는 4시간 후 풀릴 수도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치과 마취 종류와 주의사항]으로
치과마취에 대한 궁금증을 풀고, 공포감을 조금 줄인 시간이면 좋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더 즐거운 라라블리 치과상식으로 돌아오겠습니다 ㅎㅎㅎ
'라라블리 꿀정보 > 라라블리 치과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상식] 찬물 마시면 이가 시려요! (0) | 2020.04.19 |
---|---|
[치과상식] 충치치료/아말감과 레진의 차이점, 장단점 (0) | 2020.04.18 |
[치과상식] 임신 중 치아관리는 어떻게 할까요?! (0) | 2020.04.13 |
[치과상식] 사랑니발치 후 주의사항과 음식 (0) | 2020.04.11 |
[치과상식]사랑니는 꼭 뽑아야 할까요? 사랑니발치 시기는?! (0) | 2020.04.09 |